O2O 음악 공연 섭외 플랫폼 ‘비브’, 서비스 출시



 
 
 

VIB

㈜플랜트삼이오는 7일 ‘전문 음악공연팀 섭외 플랫폼’인 ‘Vib(비브)’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음악공연팀 섭외 플랫폼인 비브는 기존 지인 혹은 에이전시 중심의 공연 연주팀 섭외와는 달리 소비자와 공급자를 온라인 상에서 직접 중계해 주는 방식의 O2O 연결 서비스다.

비브는 온라인상 직접 연결이라는 특징 외에 기존 지인 혹은 에이전시 중심의 공연 연주팀 섭외와는 달리 공연팀의 기존 공연를 들어보고 고를 수 있는 ‘공연팀 연주 영상 제공’ 및 ‘공연 성격에 맞는 다양한 장르의 전문적 연주팀 확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공연팀 섭외를 원하는 소비자는 비브 홈페이지에서 지역 및 일자, 공연 성격, 희망 장르 음악을 선택하면 비브 플랫폼에 참여하는 다양한 종류의 연주팀과 그들의 연주 영상을 확인해 볼 수 있다. 공연팀을 선택한 소비자는 공연팀과 일정, 공연료에 대해서 협의를 진행할 수 있으며 양자가 모두 동의할 경우 공연 예약이 완료된다. 또한 음악팀이 직접 섭외료를 공개하여 기존의 불투명한 가격 구조를 해소했다고 이들은 밝혔다.공연팀은 클래식, 국악, 보이스, 밴드, 디제잉 등 다양한 연주팀이 참여하고 있다.

비브의 공동대표인 이다영씨는 서울대학교에서 국악을 전공한 음악인으로, 그 동안 여러 공연을 진행하면서 행사에서 공연이 필요하지만 섭외에 어려움을 겪는 일반인들과 높은 중개 수수료 등으로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하는 음악인들의 문제점을 발견, 비브 서비스를 출시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비브에는 이다영씨 외에 서울대 총학생회장을 역임한 전략컨설턴트 출신의 전창열씨가 공동 대표를 맡고 있으며, 서울대 작곡과를 졸업하고 영화 OST 작업 및 다수 광고 음악 제작을 진행한 전재승씨가 플랫폼 구성 및 공연팀 확보를 담당하고 있다. 전재승씨는 “음악 전공자가 처음부터 기획에 참여하였기 때문에 누구보다 공연 및 연주팀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음대 출신 공연팀 확보가 용이해 많은 공연팀을 확보하고 있다는게 비브 서비스의 강점”이라고 말했다.

현재 온라인서비스를 하고 있는 비브는 향후 모바일에서도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며 공연 중계 외에도 예술가 지원, 컨텐츠 생산, 공연 관리를 종합적으로 책임지는 서비스 플랫폼으로 발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문화 공연도 이제 인터넷으로 주문한다"



[앵커]
'공연 보러 공연장 간다'... 이 말도 곧 옛말이 될 것 같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장소, 원하는 방식으로 공연이나 콘서트를 주문할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가 생겨, 문화 시장에 신선한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권은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거실에 어쿠스틱 음악이 울려퍼집니다. 

강예준 / 싱어송라이터
"이 곡 어떠셨어요? (좋네요.) 귀엽죠? 제가 17살 때 썼던 거예요." 

오직 한 가족만을 위해 준비된 공연입니다.

이지윤 / 서울시 양천구
"저희 어머니 생신도 있었고 제 여동생이 기숙사에 혼자 사는데 오랜만에 돌아오게 되어서 축하하는 세 모녀의 파티…." 

임신한 아내를 위해 남편이 신청한 피아노 콘서트에선 감동받은 아내가 눈시울을 붉힙니다. 

강시내 / 서울시 강동구
"아기도 좋아하는 것 같고, 아기가 막 움직여요." 

온라인을 통해 원하는 지역, 행사의 성격, 예산 등을 신청하면 이렇게 맞춤형 콘서트가 열립니다. 한 벤처 기업이 개설해 문화시장의 변혁을 꿈꿉니다. 기존 에이전시를 통해 섭외하던 방식보다 간편하고 수수료를 대폭 낮춰 예술가와 소비자 모두 이익입니다.

이다영 / 비브 대표
"(아티스트 들은) 공연 기회가 쉽게 다가오지 않는 부분들이 많아요. 이쪽 예술가들과 소비자들이 만날 통로가 많이 없다는 데서 착안을 하게 됐어요." 

소비자들은 쉽게 예술을 접하고 예술가는 더 많은 공연 기회를 갖는 문화 시장의 혁명, 문화 플랫폼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TV조선 권은영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