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을 운영하다 보면 회사를 운영하다 보면 노무, 세무, 회계, 법률 등을 잘 모른 상태에서 시작하는 경우가 많고, 시행착오를 겪게 됩니다.
저 역시 6년차 된 스타트업 대표로서 이런 저런일 있었지만 다행히 노동 관련해서 부당한 일을 팀원, 직원들에게 겪게 하지 않았고, 제가 힘들지언정 힘드게 하지 않은건 자부심입니다.
회사 빚이 7억에 육박해도, 포기하지 않았고, 지금까지 버텨온 결과, 현재는 팀원이 25명에 이릅니다.
처음에 시작할 때는 장미빛 전망을 가지고 시작했지만, 왜 사업이 힘들다고 하는건지는 시간이 가면 갈수록 뼈저리게 느끼게 됩니다.
대표는 항상 공부를 해야합니다. 작은 지식이지만 배운것들을 공유하며 가면 좋을것 같아 앞으로 배우는 것들은 모조리!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권고사직 시 회사에 미치는 불이익"
자진퇴사로 나가는 직원이 실업급여 받게 해달라고 부탁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하지만 절대로 하면 안됩니다. (이건 세금을 부정 수급하는 것입니다.)
정부는 고용유지, 고용을 위해 수많은 세금을 사용합니다. 정말 필요한사람들이 못받을 수 있고, 이로 인한 세금 낭비가 매우 큰 상황에서 정도에 맞지 않는다면, 그리고 자진퇴사 하는 분을 위해서라도 잘못된 것임을 알려주고 단호히 거절해야 합니다.
1. 각종 지원금 중단
A. 해당사항
- 디지털일자리, 일자리안정자금(받던 사람만 중단되는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다 못받음, 지원 대상이 아닌 사람이 권고 사직 시에는 상관 없음)
B. 해상사항 아님
- 일자리 안정자금, 고용노동지원금, 청년 추가 고용지원금, 고용 유지 지원금
2. 부당해고 성립이 가능함
(23번 코드 경영악화)
- 권고사직 이유가 경영악화라고 해서 권고사직 한 후, 몇명 더 채용하면 부당 해고 인정 가능성이 커짐
- 노동위원회에 신고 할 경우 부당해고로 벌금 내고. 문제가 많이 생김
스타트업을 운영하다 보면 대표들이 노무 지식을 몰라 많은 고용노동부에 불려가기도 하고, 벌금을 내기도 합니다.
사전에 잘 관리를 해야 잘 해나갈 수 있습니다.
앞으로 계속 공유하겠습니다!
'기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판 뉴딜의 의미 (0) | 2021.03.14 |
---|---|
[마케팅]검색 결과 1등 vs 브랜드선호 1등 (0) | 2017.01.31 |
관점디자이너 박용후 대표님 강연 - 질문이 중요하다(1/3) (0) | 2017.01.29 |
한국 P&G 입사를 위하여1. (한국 피앤지 회사는?-1 채용 PROCESS, 인터뷰-2) (0) | 2017.01.14 |